• 최종편집 2023-04-01(토)

한국의 니트족 8000여명, 청년도전지원사업 이수하고 '삶의 시선' 바뀌나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3.02.07 18:42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청년도전.png
청년 구직자 상담을 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구직단념 청년의 취직 욕구 고취 위한 청년도전지원사업 시작

지자체 35곳 중심으로  진로 컨설팅, 직업 체험등 실시해 

중장기 프로그램까지 이수하면 인센티브 등 최대 300만원 지급

지난 해 프로그램 이수한 니트족의 경제활동 참여율은 58.7%


[굿잡뉴스=권민혁 기자]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교육·직업훈련도 받지 않는 청년 무직자를 '니트족(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이라고 한다. 그 숫자는 지난 해 기준 39만 명에 달한다. 

 

정부가 이들 니트족을 일자리로 끌어들이기 위한 정책을 본격적으로 실시한다. 단순한 현금살포가 아니라 실제로 일하는 청년으로 재탄생시킨다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용돈벌이용 공공 일자리 등을 감축하고 있는 윤석열 정부가 시장 일자리 확대라는 기본 정책 구도 아래서 추진한다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더 중요한 것은 구직단념 청년들의 시선이다. 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새로운 삶의 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정책 수요자인 구직단념 청년들이 사고의 변화를 일으켜서 취업 일선으로 나가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7일 구직단념 청년의 취직 욕구를 고취시키기 위한 '청년도전지원사업'을 수행할 지방자치단체 35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2021년부터 시작한 청년도전지원사업은 준비 기간이 길어지면서 구직을 포기한 청년들에게 건강검진부터 성격검사, 진로 컨설팅, 직업체험 등 서비스를 제공해 취직 욕구를 고취하는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1∼2개월 동안 실시하는 단기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수당 50만원을 받을 수 있고, 5개월 이상에 걸쳐 진행하는 중장기 프로그램을 수료하면 참여 수당과 이수 인센티브 등 최대 300만원을 수령할 수 있다. 

 

지난 해까지 프로그램을 이수한 구직단념 청년 9082명 가운데 5335명(58.7%)이 경제활동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는 단기 프로그램과 중장기 프로그램을 합쳐 총 8000명을 지원할 계획이다.


사업에는 최근 6개월 동안 취업 활동이나 직업훈련을 하지 않은 구직단념 청년, 자립준비 청년(보호종료 아동), 북한 이탈 청년 등이 참여할 수 있다.


노동부는 "이 사업은 구직단념 청년의 자신감 회복과 의욕 고취를 통해 적극적인 사회 진출을 끌어내기 위한 것"이라면서 "프로그램 이수 후에도 직업훈련, 구직활동 지원 등 사후관리를 철저히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8517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국의 니트족 8000여명, 청년도전지원사업 이수하고 '삶의 시선' 바뀌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