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일 2025-01-24(금)

[JOB스코어 분석] (251) 빙그레 : 3년간 매출액 늘고, 2021년 주춤한 영업익은 이듬해 반등…직원-김호연 회장간 연봉 격차는 최대 41.74배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3.11.24 09:07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잡스코어(JOB SCORE)는 굿잡뉴스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해당하는 고용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독창적 지표‘입니다. 일자리 창출의 측면에서 해당 기업의 역량을 평가합니다. 개별 기업의 잡스코어는 2가지 ’기본지수‘와 '직원과 CEO 연봉 격차 지수' 등으로 구성됩니다. 기본 지수는 ①매출당 고용지수=전체 직원 수/당해 매출액(1억 원당 직원 수) ②영업익당 고용지수=전체 직원 수/당해 영업이익(1억 원당 직원 수) 등입니다. 매출당 고용지수는 1억 원의 매출이 몇 명의 직원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알려줍니다. 영업익당 고용지수는 1억 원을 벌 때 몇 명의 직원을 고용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직원과 CEO 연봉 격차 지수는 각사의 사업보고서상 기재된 CEO들의 연봉을 전체 직원의 평균 연봉으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이는 기업 내 분배구조를 파악하게 해줍니다. 기본지수와 연봉 격차 지수는 모두 최근 3년 데이터를 근거로 작성함으로써 그 변화 추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편집자 주>

 

 

65780_57802_1643.jpg
빙그레 전창원 대표이사 / 사진편집=굿잡뉴스 윤예은

 

 

[굿잡뉴스=윤예은 기자] 빙그레는 빙과류, 스낵, 우유 등을 제조 판매하는 식품회사다. 1967년 9월 세워진 (주)대일양행을 모태로 한다. 1971년 10월 (주)대일유업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1974년 1월 국내 최초로 생우유를 첨가한 고급 아이스크림 ‘투게터’를 출시했다. 같은 해 6월에는 단지 모양의 ‘바나나맛 우유’ 시판을 개시했다.


1979년 3월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하고, 1982년 2월 지금의 상호인 (주)빙그레로 사명을 바꿨다. 1987년 4월 빙그레 식품 연구소를 설립하고, 1988년 9월 서울올림픽 아이스크림 공식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2014년 8월 중국법인, 2016년 7월 미국법인에 이어 2019년 9월 베트남법인을 설립했다. 2020년 3월 아이스크림 사업역량 강화를 위해 해태제과식품(주)의 자회사인 해태아이스크림(주)의 지분 100%를 인수했다. 이로써 국내 아이스크림업체는 4강 체제(롯데제과, 빙그레, 롯데푸드, 해태아이스크림)에서 롯데 브랜드와 빙그레의 양강 체제로 구도가 바뀌었다. 


빙그레 주력 분야는 아이스크림, 스낵, 유음료, 디저트 품목 등 유가공 단일 사업이다. 대표 브랜드로 ‘투게더’, ‘바나나맛 우유’, ‘요플레’ 등이 있다. 생산 공장은 남양주공장, 김해공장, 광주공장, 논산공장 등 4개가 있다. 

 

 

스크린샷 2023-11-23 오전 8.42.53.png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빙그레’ 사업보고서] [도표=윤예은 기자]

 

■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 0.187에서 0.143으로 하락…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 6.973에서 4.591로 하락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빙그레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빙그레의 2020년 매출 총액은 9591억 원이다. 2021년 매출 총액은 1조147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9.63% 증가했다. 2022년 매출 총액은 전년 대비 10.48% 증가해 1조2676억 원으로 올랐다.


2021년 주춤했던 영업이익은 지난해 다시 증가했다. 2020년 빙그레의 영업 이익은 398억 원이다. 이듬해 영업 이익은 전년 대비 34.17% 감소해 262억 원에 그쳤다. 2022년 영업 이익은 394억 원으로 전년 대비 50.38% 증가했다.


직원 수는 2021년 증가했다가 이듬해 감소했다. 2020년 빙그레 전체 직원 수는 1,789명이다. 2021년에는 1,827명으로 38명 증가했으며, 이듬해 직원 수는 1,809명으로 전년 대비 18명 감소했다.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3년간 하락세를 보였다. 2020년 빙그래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187이다. 이듬해 매출 총액이 증가하면서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159로 떨어졌다. 2022년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매출액이 한 단계 더 오르면서 0143으로 하락했다.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2021년 상승했다가 이듬해 하락했다. 2020년 빙그레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4.495다. 이듬해 영업익이 감소하고, 직원 수가 증가하면서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6.973으로 상승했다. 2022년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영업익이 전년 대비 증가하면서 다시 하락해 4.591에 그쳤다.

 

 

스크린샷 2023-11-23 오전 9.05.06.png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빙그레’ 사업보고서] [도표=윤예은 기자]

 

■ 2020년 빙그레 직원 평균 연봉 5600만 원…김호연 사내이사와 14.70배 차이


빙그레 직원의 2020년 평균 연봉은 5600만 원이다. 


김호연 사내이사는 2020년 8억23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직원 평균 연봉과 14.70배 차이 난다. 급여는 기본급과 역할급을 합쳐 총 8억 원이 지급됐다. 상여금은 2200만 원이 책정됐으며, 기타 근로소득으로 복리후생비 100만 원이 추가로 지급됐다.

 

 

스크린샷 2023-11-23 오전 9.05.21.png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빙그레’ 사업보고서] [도표=윤예은 기자]

 

■ 2021년 직원 평균 연봉 전년 대비 100만 원 늘어 5700만 원…김호연 회장과 연봉 격차는 26.26배


2021년 빙그레 직원 평균 연봉은 전년 대비 100만 원 늘어 5700만 원이다.


김호연 회장은 2021년 직원 평균 연봉과 26.26배 차이 나는 14억97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급여는 임원 인사 규정에 따라 직위, 회사 기여도, 위임 업무의 책임 등을 고려해 13억 원이 지급됐다. 상여금은 국내외 어려운 경영 여건 속에서 전년도 영업 이익 목표를 초과 달성한 점을 고려해 성과 인센트브로 1억6500만 원이 책정됐으며, 연차수당에 준하는 특별상여금으로 3100만 원이 지급됐다. 기타 근로소득은 100만 원이다. 

 

 

스크린샷 2023-11-23 오전 9.05.45.png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빙그레’ 사업보고서] [도표=윤예은 기자]

 

■ 2022년 직원 평균 연봉은 전년 대비 400만 원 줄어 5300만 원…김호연 회장과 연봉 격차는 41.74배 


2022년 빙그레 직원 평균 연봉은 전년 대비 400만 원 줄어 5300만 원이다.


김호연 회장의 2022년 보수는 22억1200만 원이다. 직원 평균 연봉과 41.74배 차이다. 급여는 기본급 14억 원과 역할급 6억 원을 합쳐 총 20억 원이 지급됐다. 상여금은 성과 인센티브 1억5000만 원과 특별 상여금 5900만 원을 합쳐 총 2억900만 원이 책정됐다. 기타 근로소득으로 300만 원이 추가로 지급됐다.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1453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JOB스코어 분석] (251) 빙그레 : 3년간 매출액 늘고, 2021년 주춤한 영업익은 이듬해 반등…직원-김호연 회장간 연봉 격차는 최대 41.74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