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일 2025-03-16(일)

[JOB스코어 분석] (281) 한국철강 : 2022년 오른 매출액·영업익 이듬해 다시 감소, 고용지수는 소폭 올라…직원-장세홍 회장간 연봉 격차는 최대 12.23배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5.20 07:34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잡스코어(JOB SCORE)는 굿잡뉴스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해당하는 고용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독창적 지표‘입니다. 일자리 창출의 측면에서 해당 기업의 역량을 평가합니다. 개별 기업의 잡스코어는 2가지 ’기본지수‘와 '직원과 CEO 연봉 격차 지수' 등으로 구성됩니다. 기본 지수는 ①매출당 고용지수=전체 직원 수/당해 매출액(1억 원당 직원 수) ②영업익당 고용지수=전체 직원 수/당해 영업이익(1억 원당 직원 수) 등입니다. 매출당 고용지수는 1억 원의 매출이 몇 명의 직원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알려줍니다. 영업익당 고용지수는 1억 원을 벌 때 몇 명의 직원을 고용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직원과 CEO 연봉 격차 지수는 각사의 사업보고서상 기재된 CEO들의 연봉을 전체 직원의 평균 연봉으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이는 기업 내 분배구조를 파악하게 해줍니다. 기본지수와 연봉 격차 지수는 모두 최근 3년 데이터를 근거로 작성함으로써 그 변화 추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편집자 주>

 

 

211482_215200_430.jpg
한국철강 문종인 대표이사 / 사진편집=굿잡뉴스 윤예은

 

[굿잡뉴스=윤예은 기자] 한국철강은 KISCO그룹 산하의 전기로 제강사다. 1957년 설립된 한국철강(주)을 모태로 한다. 1965년 제강공장과 강판공장을 준공했다. 1972년 2월 동국제강(주)에 인수되었으며, 1986년 8월 동국중기공업(주)을 흡수합병했다. 2001년 동국제강그룹에서 계열분리됐으며, 이듬해 2002년 환영철강공업을 인수했다. 


2008년 9월 1일 KISCO그룹이 지주회사체제로 전환하며 제조사업부문을 한국철강으로 인적분할했다.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한 건 같은 해 9월 29일이다. 


주요 사업은 철근, 단조강 등의 생산으로 국내 주요 건설사, 유통사, 조달청 등에 납품한다. 

 

 

스크린샷 2024-05-18 오후 12.35.02.png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한국철강’ 사업보고서] [도표=윤예은 기자]

 

■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 0.040에서 0.039로 하락…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414에서 0.337로 하락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한국철강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철강의 2021년 매출 총액은 9050억 원이다. 2022년 매출 총액은 1조641억 원으로 전년 대비 17.58% 증가했다. 2023년 매출 총액은 전년 대비 16.68% 감소해 8534억 원에 그쳤다.


영업 이익 또한 2022년 증가했다가 이듬해 다시 감소했다. 2021년 한국철강 영업 이익은 865억 원이다. 2022년 영업 이익은 12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40.35% 증가했다. 2023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4.99% 감소해 1032억 원이다.


직원 수는 3년간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2021년 한국철강 전체 직원 수는 358명이다. 2022년에는 346명으로 12명 감소했으며, 2023년 직원 수는 348명으로 전년 대비 2명 늘었다.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2022년 하락했다가 이듬해 소폭 상승했다. 2021년 한국철강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040이다. 이듬해 매출 총액이 전년 대비 증가하면서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033으로 하락했다. 2023년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매출 총액이 다시 감소하면서 0.039로 전년 대비 상승했다.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 또한 2022년 하락했다가 이듬해 상승했다. 2021년 한국철강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414다. 2022년 영업 이익이 증가하면서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285로 하락했다. 2023년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영업 이익이 감소하면서 0.337로 전년 대비 상승했다.

 

 

스크린샷 2024-05-16 오후 9.56.46.png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한국철강’ 사업보고서] [도표=윤예은 기자]

 

■ 2021년 한국철강 직원 평균 연봉 1억1300만 원…장세홍 사장과 6.65배 차이


한국철강 직원의 2021년 평균 연봉은 1억1300만 원이다. 


장세홍 사장은 2021년 7억51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직원 평균 연봉과 6.65배 차이 난다. 급여는 5억8200만 원이 지급됐다. 상여금은 1억6900만 원이 책정됐다. 지속적인 글로벌 경기침체와 코로나19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등 어려운 경영환경에서 임직원들이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조직을 이끌어 973억 원의 당기순이익 성과를 창출한 점, 현장인력 육성 및 안전작업장 구축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안정적인 생산에 기여한 점 등의 성과가 상여금 책정에 반영됐다. 

 

 

스크린샷 2024-05-16 오후 9.57.00.png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한국철강’ 사업보고서] [도표=윤예은 기자]

 

■ 2022년 직원 평균 연봉 전년 대비 1400만 원 늘어 1억2700만 원…장세홍 회장과 연봉 격차는 10.68배


2022년 한국철강 직원 평균 연봉은 전년 대비 1400만 원 늘어 1억2700만 원이다.


장세홍 회장은 2022년 직원 평균 연봉과 10.68배 차이 나는 13억56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급여는 이사회에서 결정된 임원 보수 규정에 의거해 직무, 직급, 근속기간, 회사기여도 등을 고려한 내부 기준에 의거해 매월 8100만 원씩 총 9억7000만 원이 지급됐다. 상여금은 3억8600만 원이 책정됐다. 글로벌 통화 긴축에 따른 금리인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로 에너지 수급차질 및 원자재 단가인상 등으로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어려운 경영 여건에서 임직원들이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조직을 이끌어, 789억 원의 당기순이익 성과를 창출한 점, 현장인력 육성 및 안전작업장 구축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안정적인 생산에 기여한 점 등의 성과가 상여금 책정에 반영됐다. 

 

 

스크린샷 2024-05-16 오후 10.09.28.png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한국철강’ 사업보고서] [도표=윤예은 기자]

 

■ 2023년 직원 평균 연봉은 전년 대비 400만 원 줄어 1억2300만 원…장세홍 회장과 연봉 격차는 12.23배 


2023년 한국철강 직원 평균 연봉은 전년 대비 400만 원 줄어 1억2300만 원이다.


장세홍 회장은 2023년 15억4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직원 평균 연봉과 12.23배 차이다. 급여는 매월 1억 원씩 총 11억9700만 원이 지급됐다. 상여금은 3억700만 원이 책정됐다. 지속적인 전기료 인상에 따른 원가 부담 증가, 건설경기 악화로 인해 건설 수주 착공이 급감되어 철근 수요가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 등 어려운 경영 여건에서 임직원들이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조직을 이끌어 682억 원의 당기순이익 성과를 창출한 점과 현장인력 윤성과 시스템 개선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안정적인 생산에 기여한 점 등의 성과가 상여금 책정에 반영됐다.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2558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JOB스코어 분석] (281) 한국철강 : 2022년 오른 매출액·영업익 이듬해 다시 감소, 고용지수는 소폭 올라…직원-장세홍 회장간 연봉 격차는 최대 12.23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