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일 2025-01-24(금)

[신직업 분석](103) 신약 개발 전략과 방법론을 기획하는 ‘바이오의약품연구기획자’,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 1년 만에 112.3% 성장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5.30 09:19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굿잡뉴스는 ‘직업전망’시리즈를 통해 ‘기존 직업’의 현재와 미래를 분석했습니다. ‘신직업 분석’은 4차산업혁명시대에 새롭게 떠오르는 직업들에 대한 기획입니다. 다양한 취재를 통해 신직업의 개념, 시장규모, 취업전략 등의 3개 영역에 대한 최신정보를 제공합니다. <편집자 주>

 

 

바이오의약품연구기획자 시장규모.png
[사진=freepik]

 

 

의약품 시장의 트랜드를 읽고 목표 제품을 선정하여 연구를 기획하는 바이오의약품연구기획자


[굿잡뉴스=이준서 기자] 코로나 백신, 독감 백신, 수두 백신, 대상포진 백신 등 우리는 살아가면서 여러 종류의 백신을 접하게 된다. 


이러한 백신은 약화한 병원체를 우리 몸에 의도적으로 투입해 체내에 유입된 병원체의 항체를 생성해서 면역력을 갖게 하는 원리로, 인류가 최초로 이용하기 시작한 바이오 의약품이다.


백신 개발은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가 천연두 생존자 및 소에게서 옮은 천연두에 걸린 사람은 다시 천연두에 걸리지 않는 것을 보고 최초의 백신을 개발한 것에서부터 출발해 19세기 파스퇴르가 바이러스 배양/약화를 통해 백신을 개발했고, 20세기 들어 홍역, 소아마비, 풍진 등의 백신이 개발됐다.


백신 외에도 바이오의약품은 유전자치료제, 세포치료제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러한 바이오의약품은 화학 의약품과 달리 생체 유래 성분으로 복잡한 구조와 큰 분자량을 가져 상대적으로 독성이 낮고 부작용이 적으며 치료에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바이오의약품연구기획자는 임상적 미충족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시장동향, 기술 및 특허 동향, 경제성 분석 후 타깃 질환과 목표제품을 선정하여 연구하고 수행 체계를 수립한다.


더 자세히 보자면 질환의 잠재적 시장규모와 시장의 트랜드 및 미래 예측자료를 확인하고, 시장성이 우수한 물질을 선정한 후 의약품으로 개발할 물질의 종류를 결정한다.


최적화 및 생산화 기술을 파악하고 특허 전략 수립과 개발에 소요되는 기간과 계획을 세우고 전체적인 개발 소요 비용을 산출하여 목표 제품 특성 보고서를 작성한다.


또한 시장 진입 방향 모색을 위한 경쟁자 파악, 신소재 동향 분석에 필요한 자료 수집 및 동향을 파악하며,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활용하고 핵심기술 개발 현황을 파악하며 지식 재산권 자료를 수집한다. 



바이오의약품후보물질발굴연구원 시장규모.png
[자료=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그래픽=이준서 기자]

 

시장규모=전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 규모는 연평균 9%씩 성장 예상


전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약 2,660억달러 규모로 2012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9%씩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특히 글로벌 매출 상위 100대 의약품 중 바이오의약품 비중이 지속해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며 지난 2012년에는 39%였지만, 2019년에는 53%를 차지했다. 


2026년에는 5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전체 의약품 시장에서 바이오의약품 비중도 지속해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또한 2020년 3조3029억원이었던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가 1년 만에 2021년 7조111억원으로 112.3% 증가하였으며 지난 10년간 14.9%씩 증가하며 성장하고 있다.


전체 의약품 시장 중 바이오의약품 비중은 27.6%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2015년 무역수지 흑자 전한을 시작으로 바이오시밀러 중심으로 수출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2021년 바이오의약품에 해당하는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의 생산, 수입이 증가하면서 시장규모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고 예상된다.



취업전략=석사 이상의 학력과 깊이 있는 전공 지식, 영어 실력까지 모두 갖추어야


대학교 또는 대학원에서의 실제 실험과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직접 보고 배운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때때로 석사 이상의 학위를 필요로 한다.


또한, 세계의 여러 신약에 관해 공부하여 보고서로 작성해야 하는 일이 많아 영어를 자유롭게 구사하고 작성할 줄 알아야 하며 새로운 것을 잘 받아들이고 지속해서 탐구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 유리하다.


전체적인 업무에 대해 계획을 세우고 조율하고 통합하는 직무 특성상 스케줄 관리를 잘할 줄 알아야 하며, 돌발 상황에 대해 냉정한 판단력의 기본 자질을 갖추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9800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신직업 분석](103) 신약 개발 전략과 방법론을 기획하는 ‘바이오의약품연구기획자’,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 1년 만에 112.3% 성장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