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스코어 분석] (283) 한미사이언스 : 3년간 매출액·영업익 상승세, 한미헬스케어와 합병으로 직원 수 증가해 고용지수 상승…직원-송영숙 대표이사간 연봉 격차는 최대 23.52배
댓글 0
기사입력 : 2024.05.29 09:18
‘잡스코어(JOB SCORE)는 굿잡뉴스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해당하는 고용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독창적 지표‘입니다. 일자리 창출의 측면에서 해당 기업의 역량을 평가합니다. 개별 기업의 잡스코어는 2가지 ’기본지수‘와 '직원과 CEO 연봉 격차 지수' 등으로 구성됩니다. 기본 지수는 ①매출당 고용지수=전체 직원 수/당해 매출액(1억 원당 직원 수) ②영업익당 고용지수=전체 직원 수/당해 영업이익(1억 원당 직원 수) 등입니다. 매출당 고용지수는 1억 원의 매출이 몇 명의 직원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알려줍니다. 영업익당 고용지수는 1억 원을 벌 때 몇 명의 직원을 고용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직원과 CEO 연봉 격차 지수는 각사의 사업보고서상 기재된 CEO들의 연봉을 전체 직원의 평균 연봉으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이는 기업 내 분배구조를 파악하게 해줍니다. 기본지수와 연봉 격차 지수는 모두 최근 3년 데이터를 근거로 작성함으로써 그 변화 추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편집자 주>
한미사이언스 임종훈 대표이사 / 사진편집=굿잡뉴스 윤예은
[굿잡뉴스=윤예은 기자] 한미사이언스는 사업형 지주회사다. 2010년 7월 1일 한미약품은 인적분할을 통해 존속법인으로 한미홀딩스(현, 한미사이언스)를, 신설법인으로 한미약품을 설립했다. 한미홀딩스는 2010년 7월 30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재상장했으며, 2011년 5월 지주회사로 전환한 뒤, 2012년 3월 23일 지금의 상호로 변경했다.
한미사이언스는 2022년 11월 한미헬스케어와 합병해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현재 한미사이언스가 사업형 지주회사로서 영위하는 사업은 지주부문, 헬스케어사업부문, 의약품 도매부문 등이다.
지주부문에서는 자회사의 지분이익, 특허권 및 상표권 사용료 수입, 계열사 관리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수익을 창출한다. 헬스케어사업부문은 의료기기본부, 컨슈머헬스본부, IT본부로 나뉘어 식품 제조 및 유통, 의료기기 사업, 물류 RFID TAG 사업 등을 영위한다. 의약품 도매부문에서는 HMP몰과 같은 온라인 거래 플랫폼과 300여 명의 약국 영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전국 약국에 약품을 공급하며, 의약부외품 및 건강기능식품, 음료 및 기능성 화장품까지 공급량을 확대 중이다.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한미사이언스’ 사업보고서] [도표=윤예은 기자]
■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 0.010에서 0.034로 상승…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156에서 0.339로 상승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한미사이언스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한미사이언스의 2021년 매출 총액은 9501억 원이다. 2022년 매출 총액은 1조46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09% 증가했다. 2023년 매출 총액은 전년 대비 19.3% 증가해 1조2479억 원이다.
영업 이익 또한 매년 증가했다. 2021년 한미사이언스 영업 이익은 588억 원이다. 2022년 영업 이익은 676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97% 증가했다. 2023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84.02% 증가해 1244억 원을 기록했다.
2022년 증가했던 직원 수는 지난해 소폭 감소했다. 2021년 한미사이언스 전체 직원 수는 92명이다. 2022년에 전체 직원 수는 한미헬스케어와의 합병으로 336명 증가해 428명이다. 2023년 직원 수는 422명으로 전년 대비 6명 감소했다.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2022년 상승했다가 이듬해 하락했다. 2021년 한미사이언스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010이다. 이듬해 매출 총액이 전년 대비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직원 수가 증가하면서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041로 상승했다. 2023년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매출 총액이 전년 대비 한 단계 더 오르면서 0.034로 하락했다.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또한 2022년 상승했다가 이듬해 하락했다. 2021년 한미사이언스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156이다. 2022년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영업 이익이 증가했음에도 직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0.633으로 전년 대비 상승했다. 2023년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영업 이익이 한 단계 더 오르면서 전년 대비 하락해 0.399에 그쳤다.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한미사이언스’ 사업보고서] [도표=윤예은 기자]
■ 2021년 한미사이언스 직원 평균 연봉 7400만 원…송영숙 대표이사와 8.68배 차이
한미사이언스 직원의 2021년 평균 연봉은 7400만 원이다.
송영숙 대표이사는 2021년 6억42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직원 평균 연봉과 8.68배 차이 난다. 급여는 직무, 회장이라는 직급, 근속기간, 회사 기여도 등을 반영해 5억5500만 원이 지급됐다. 상여금은 9200만 원이 책정됐다.
임종윤 대표이사 또한 2021년 송 대표이사와 동일한 보수를 받았다. 급여와 상여금 금액 또한 송 대표이사와 동일하게 지급됐다.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한미사이언스’ 사업보고서] [도표=윤예은 기자]
■ 2022년 직원 평균 연봉 전년 대비 4100만 원 줄어 3300만 원…임종윤 사장과 연봉 격차는 23.82배
2022년 한미사이언스 직원 평균 연봉은 전년 대비 4100만 원 줄어 3300만 원이다.
임종윤 사장은 2022년 7억86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직원 평균 연봉과 23.82배 차이 난다. 급여는 6억5100만 원이 지급됐으며, 상여금은 1억3500만 원이 책정됐다.
송영숙 대표이사는 2022년 직원 평균 연봉과 23.52배 차이 나는 7억76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급여와 상여금은 각각 6억4500만 원, 1억3100만 원이 지급됐다.
임주현 사장의 2022년 보수는 6억1400만 원이다. 직원 평균 연봉과 18.61배 차이 난다. 급여는 4억9800만 원이 지급됐으며, 상여금은 1억1600만 원이 책정됐다.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한미사이언스’ 사업보고서] [도표=윤예은 기자]
■ 2023년 직원 평균 연봉은 전년 대비 4100만 원 늘어 7400만 원…박준석 부사장과 연봉 격차는 18.57배
2023년 한미사이언스 직원 평균 연봉은 전년 대비 4100만 원 늘어 7400만 원이다.
박준석 부사장은 2023년 13억74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직원 평균 연봉과 18.57배 차이다. 급여는 2억1800만 원이 지급됐으며, 퇴직금은 11억5600만 원이 책정됐다. 별도 상여금은 지급되지 않았다.
송영숙 대표이사는 2023년 직원 평균 연봉과 16.76배 차이 나는 12억4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급여는 9억2900만 원이 지급됐으며, 상여금은 3억1100만 원이 책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