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1만원 시대 앞두고 소상공인들 최저임금 차등제 도입 요구
소상공인들 "생존권 위해 내년 최저임금 동결해야"
소상공인연합회,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화 제도 도입 요구
노동계는 최저시급 1만 2000원 요구해 갈등 불가피
[굿잡뉴스=권민혁 기자] 내년 최저시급이 1만원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소상공인들이 최저임금 동결을 요구하고 나서 주목된다. 노동계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인상 등을 감안해서 내년 최저시급이 최소한 1만 2000원 정도 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에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불황 속에서 인건비 부담까지 커지면 존립이 위태롭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25일 여의도 국회 앞에서 전국 17개 광역지회 회원과 업종 단체 회원 등 2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최저임금 제도 개선 촉구 결의대회'를 열고 내년 최저임금을 동결하고 업종별 구분 적용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기준 소공연 회장 직무대행은 대회사에서 "팬데믹(대유행병)을 버티는 동안 50% 이상 늘어난 대출 원금과 이자 비용이 소상공인 숨을 죄어오고 있는 상황에서 최저임금 인상이라는 부담까지 가중되면 소상공인은 버틸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저임금 미만 비율이 높은 음식·숙박업은 실태조사를 해보니 사업체 월평균 매출액까지 줄어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인다"며 "최저임금위원회는 최저임금을 업종별로 구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은 소상공인에게 '고용하지 않는 것'과 '문을 닫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할 것을 강요해 '무인가게'와 '1인숍'이 급격하게 늘었고 폐업하는 경우도 다반사"라며 "차라리 정부에서 최저임금 결정에 참여해 소상공인 지원 방안을 명문화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소상공인들은 결의대회에서 염원을 담은 '시행 망치'로 '구분 적용'을 가두고 있는 얼음벽을 깨부수고 업종별 구분 적용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