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행일 2025-01-24(금)

[JOB스코어 분석] (314) HS화성 :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 0.086에서 0.046으로 하락…직원-이종원 대표이사 회장간 연봉 격차는 최대 12.23배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12.13 16:22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잡스코어(JOB SCORE)는 굿잡뉴스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해당하는 고용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독창적 지표‘입니다. 일자리 창출의 측면에서 해당 기업의 역량을 평가합니다. 개별 기업의 잡스코어는 2가지 ’기본지수‘와 '직원과 CEO 연봉 격차 지수' 등으로 구성됩니다. 기본 지수는 ①매출당 고용지수=전체 직원 수/당해 매출액(1억 원당 직원 수) ②영업익당 고용지수=전체 직원 수/당해 영업이익(1억 원당 직원 수) 등입니다. 매출당 고용지수는 1억 원의 매출이 몇 명의 직원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알려줍니다. 영업익당 고용지수는 1억 원을 벌 때 몇 명의 직원을 고용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직원과 CEO 연봉 격차 지수는 각사의 사업보고서상 기재된 CEO들의 연봉을 전체 직원의 평균 연봉으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이는 기업 내 분배구조를 파악하게 해줍니다. 기본지수와 연봉 격차 지수는 모두 최근 3년 데이터를 근거로 작성함으로써 그 변화 추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편집자 주>


hs화성.png
HS화성 이종원 대표이사 회장 / 사진편집=굿잡뉴스 장현태

 

[굿잡뉴스=장현태 기자] HS화성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한 토목, 건축, 주택 건설을 목적으로 1958년에 설립된 대구 지역의 대표적인 장수 건설 업체이다. 주요 사업은 건축공사, 토목공사, 조경공사, 산업환경설비공사, 주택 분양 등이다.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주)화성그린케어, 특수관계회사로 (주)화성개발, 동아애드(주)가 있다.


1958년 9월 (주)삼용사로 설립한 뒤 1960년 현재 상호로 변경하였으며, 1972년 동아백화점 신축 개점을 시작으로 1984년 동아쇼핑센터를 신축, 개점하며 유통 사업을 확장했다. 1988년 프랑스 쁘렝땅사와 프랜차이즈 계약으로 쁘렝땅백화점을 개점하고 기업공개를 통해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다.


1998년 워크아웃 대상 기업으로 선정되었으나 2000년 구조조정 협약이 해제되었고, 2001년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였다. 이후 2010년 유통사업부문을 (주)이랜드리테일에 양도하고, 2024년 화성산업(주)에서 HS화성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초기에 토목 사업과 건축 사업을 시작으로 지역을 대표하는 주택 건설 업체로 성장하였으며, 사업의 다각화로 인하여 조경 사업, 신재생 에너지 사업 등으로도 진출하고 있다. 아울러 사회 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사회복지 사업, 장학 사업, 학술 사업, 문화 사업, 예술 사업, 환경 보전 사업, 화성 자원봉사단 활동 등의 사회적 지원 사업을 통하여 기업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는 사회 책임 경영을 이행하고 있다.

 

 

고용지수.png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S화성’ 사업보고서] [도표=장현태 기자]

 

■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 1.273에서 1.663으로 상승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HS화성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HS화성의 2021년 매출 총액은 4222억 원이다. 2022년 매출 총액은 6457억 원으로 전년 대비 52.94% 증가했다. 2023년 매출 총액은 전년 대비 40.62% 증가한 9080억 원이다.


영업이익은 2022년 하락했다가 이듬해 증가했다. 2021년 HS화성 영업이익은 286억 원이다. 2022년 영업이익은 145억 원으로 전년 대비 49.3% 감소했다. 2023년 영업이익은 252억 원으로 전년 대비 73.79% 증가했다.


직원 수는 매년 증가헀다. 2021년 HS화성 전체 직원 수는 364명이다. 2022년 전체 직원 수는 414명으로 50명 증가했으며, 2023년 직원 수는 419명으로 5명 증가했다.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꾸준히 하락세를 보였다. 2021년 HS화성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086이다. 이듬해 매출 총액이 전년 대비 증가하면서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0.064로 하락했다. 2023년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는 매출 총액이 전년 대비 또다시 증가하면서 0.046으로 하락했다.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2022년 상승했다가 이듬해 하락했다. 2021년 HS화성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1.273이다. 이듬해 영업이익이 감소면서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2.855로 상승했다. 2023년 영업익 1억 원당 고용지수는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증가하면서 1.663으로 감소했다. 



2021.png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S화성’ 사업보고서] [도표=장현태 기자]

 

■ 2021년 HS화성 직원 평균 연봉 5600만 원…이종원 대표이사 사장과 10.04배 차이


HS화성 직원의 2021년 평균 연봉은 5600만 원이다. 


이홍중 대표이사 회장은 2021년 5억59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직원 평균 연봉과 9.98배 차이 난다. 급여는 5억1200만 원이 지급됐으며, 상여금은 4700만 원이 책정됐다.


이종원 대표이사 사장은 2021년 5억62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직원 평균 연봉과 10.04배 차이 난다. 급여는 5억1200만 원이 지급됐으며, 상여금은 4700만 원이 책정됐다. 당사 학자금 지급기준에 따라 기타소득 300만원이 추가로 지급됐다. 



2022.png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S화성’ 사업보고서] [도표=장현태 기자]

 

■ 2022년 HS화성 직원 평균 연봉 전년과 동일한 5600만원…이종원 대표이사 사장과 연봉 격차는 12.65배


HS화성 직원의 2022년 평균 연봉은 5600만 원이다. 


이종원 대표이사 회장은 2022년 6억85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직원 평균 연봉과 12.23배 차이 난다. 급여는 6억600만 원이 지급됐으며, 상여금은 7600만 원이 책정됐다. 당사 학자금 지급기준에 따라 기타소득 300만원이 추가로 지급됐다. 


 

2023.png
[자료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S화성’ 사업보고서] [도표=장현태 기자]

 

■ 2023년 HS화성 직원 평균 연봉 전년 대비 400만원 올라 6000만원…이종원 대표이사 회장과 연봉 격차는 10.68배


HS화성 직원의 2023년 평균 연봉은 6000만 원이다. 


이종원 대표이사 회장은 2023년 6억41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직원 평균 연봉과 10.68배 차이 난다. 급여는 6억600만 원이 지급됐으며, 상여금은 7600만 원이 책정됐다. 당사 학자금 지급기준에 따라 기타소득 300만원이 추가로 지급됐다.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8445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JOB스코어 분석] (314) HS화성 : 매출 1억 원당 고용지수 0.086에서 0.046으로 하락…직원-이종원 대표이사 회장간 연봉 격차는 최대 12.23배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